본문 바로가기
News(신문읽기)/사설읽기(기록)

20220603 오늘의 신문사설

by 신선한 레몬에이드 2022. 6. 3.

20220603 오늘의 신문사설

 

 

 

0601 교육감 선거

 

1일 치러진 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17개 시도 중 8곳에서 보수 성향

교육감이 당선됐다.

20144, 20183곳에 불과했던

보수 교육감 당선인이 크게 늘면서

지방 교육 권력을 진보와 보수가 균점했다.

2014년부터 8년간 이어져온 진보

교육감 시대는 막을 내렸다.

정당 공천이 없어 현직 프리미엄

강한데도 충북·부산·제주의 현직

진보 교육감들은 보수에 자리를 내줬다.

진보단체들은 대선 후광 효과라며

애써 의미를 축소했지만,

그간 진보 교육감들이 내세운

혁신교육에 대한 실망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에 무게중심이 쏠린다.

 

진보 교육의 상징인 혁신학교는

험 중심의 창의적 교육을 하자는

취지는 긍정적이지만, 입시제도와의

괴리를 해소하지 못해 외면받았다.

진보 교육감들은 평등한 학교를

내세우며 자율형사립고 폐지를

추진해왔으나, 해당 학교들과의 소송

10건에서 모두 패했다.

그사이 사교육비는 234,000억 원

(2021)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중고생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2017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확대됐다.

코로나19 대유행 영향까지 겹치며

학력격차의 골은 깊어질 대로 깊어졌다.

(중략)

교육감 성향 따라 현장이 흔들려온

탓에 교육이 백년대계가 아닌 사년대계

자조가 나오는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보수나

진보 수식어가 붙지 않는 안정적인

교육 정책을 바란다.

연간 80조 원으로 2만여 개

학교를 운영하고 교원 50만 명 인사를

좌우하는 교육감의 영향력은 막대하다.

이념은 덜어내고 교육의

기본을 고민해야 할 때다.

 

BY. 한국일보

 

 

지난 1일 치러진 전국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보수가 약진했다.

17개 시·도 중 경기 임태희 후보를

비롯해 부산·대구·대전·경북·강원·

충북·제주 등 8곳에서 보수성향

후보가 승리했다.

진보진영은 3선에 성공한 조희연

서울교육감을 비롯해 인천·세종·충남

·울산·경남·광주·전북·전남 등 9곳을

얻으며 가까스로 균형을 이뤘다.

유권자들이 기존 교육노선에

물음표를 던지며 보수·진보의

상호견제 구도를 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진보 교육감들은 형평성 교육에

무게를 실으며 체험·토론·참여

위주의 혁신교육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사실 여부와 무관하게

성적 부진 학교라는 프레임에

빠져 고전했다. 외국어고·자율형사립고

폐지 정책은 소송전으로 이어졌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초학력

미달자가 늘어나고,

학력 양극화 현상이 심각해진 것도

새로운 이슈로 부상했다.

(중략)

·중등교육의 주역은

연간 80조원 예산을 움직이는

교육감 17인도, 학교 2만여곳도,

교원 50만명도 아닌, 학생 590만명이다.

진보 교육감이든 보수 교육감이든

교육정책 집행에서 학생 중심

가치를 최우선에 둬야 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민주시민교육의 근간인

학생인권조례와 기후위기사회에

대비하는 생태전환교육 등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은 퇴보

없이 이어져야 한다.

교육감 직선제를 개선해

교육 당사자인 학생의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도 검토할 때다.

 

BY. 한국일보

 

 

서울·경기를 비롯해 8개 지역에선

교육감 선거 투표 성향이 단체장

선거 결과와 엇갈린 것도 주목된다.

그만큼 교육 문제에 대한 유권자들의

요구와 희망이 정치적 시각을 뛰어넘어

다양하게 형성돼 있음을 보여준다.

당선된 교육감들이 선거 승리라는

단편적 결과와 진영적 시각에

매몰되지 말고, 열린 자세로

상대 후보의 공약까지 검토하면서

올바른 교육정책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 이유다.

 

교육감의 정책 성향이 바뀌는

지역에서는 급격한 변화로

교육 현장의 혼란이나 사회적 갈등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전임자의 정책 기조를 이어나가게

되는 지역에서도 전체 교육감

선거의 의미를 새기며 미흡했던

점을 찾고 보완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공교육을 이끄는

책임자로서 날로 심화하는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공교육의 신뢰를 높이며

학생인권을 보호하는 등,

기본적인 임무에 진보·

보수를 따질 수 없다.

산적인 정책 경쟁 속에

상호 공감과 협력을 확대하는

전통을 쌓아나가기 바란다.

 

 

BY. 한겨레

 

 

일자리는 쿠팡 같은

혁신기업에서 나온다

 

주요 대기업 중 쿠팡이

지난 1년 새 신규 인력을

가장 많이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쿠팡그룹은 직원 수가

202043402명에서

202172763명으로

29361명 증가했다.

CXO연구소는 자산 5조원이

넘는 대기업집단 76곳을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쿠팡의 신규 채용은 같은

기간 76개 그룹이 늘린

63740명의 46%에 해당한다.

이로써 쿠팡그룹은 주요 대기업 중

고용 6위에 랭크됐다.

 

CXO연구소 분석에서 보듯

일자리는 혁신기업에서 나온다.

쿠팡 같은 기업은 일자리의

보고라 할 만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국정목표로 세웠다.

역동적 혁신성장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려면 쿠팡과 같은 혁신기업이

마음껏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제거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더불어 전통 대기업의 고용 역할도

경시할 수 없다.

CXO연구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고용 1위는 단연

삼성그룹(266854)이다.

이어 현대차(174952),

LG(158791),

SK(117438) 등이

고용 10만명 선을 넘어섰다.

 

BY. 파이낸셜 뉴스 

 

 

 

Edited BY.

존스노볼의 갑찐성장

(Read And Grow)

 

 

 

반응형

'News(신문읽기) > 사설읽기(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6.9. 오늘의 사설  (0) 2022.06.09
2022.6.8. 오늘의 사설  (0) 2022.06.08
2022.6.2. 오늘의 사설  (0) 2022.06.02
2022.5.30. 오늘의 사설  (0) 2022.05.30
2022.5.27. 오늘의 사설  (0) 2022.05.27

댓글